반응형
대출 한도 미리 확인하는 꿀팁
🟡 DSR 계산기란?
**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**은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(주담대, 전세자금대출, 신용대출 등)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.
은행이나 금융기관은 이 비율을 기준으로 대출 가능 여부와 한도를 결정합니다.
💡 DSR 계산기는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를 간편하게 계산해주는 온라인 도구입니다.
→ 직접 은행 가지 않아도, 소득과 기존 대출 정보만 입력하면 확인 가능해요!
🟢 DSR 계산기 사용법 (5단계)
✅ 1. 계산기 사이트 접속
대표적으로 아래 기관에서 제공합니다.
위 링크 중 하나를 클릭하여 계산기에 접속해주세요.
✅ 2. 소득 정보 입력
- **연 소득 (세전 기준)**을 입력하세요.
예: 연봉 3,600만 원 → ‘3600’ 입력 - 일부 계산기에서는 월소득 기준 입력도 가능합니다.
(예: 월 300만 원 → 연 3,600만 원 자동 계산됨)
✅ 3. 기존 대출 입력
아래 정보를 정확히 입력해 주세요:
항목 | 예시 |
대출 종류 | 주담대, 신용대출, 학자금대출 등 |
대출 금액 | 예: 5,000만 원 |
금리 | 예: 3.2% |
상환 기간 | 예: 20년 |
상환 방식 | 원리금균등 / 원금균등 / 만기일시상환 등 |
💡 기존 대출이 많을수록 DSR이 높아지고, 새로 받을 수 있는 대출이 줄어듭니다.
✅ 4. 신규 대출 조건 입력
이제 받고자 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조건을 입력합니다.
- 대출금액: 예) 3억 원
- 금리: 예) 4.5%
- 상환기간: 예) 30년
- 상환방식: 원리금균등 등
이렇게 입력하면 DSR 수치가 자동 계산되고,
총 DSR 비율과 함께 승인 가능 여부가 나옵니다.
✅ 5. 결과 확인 및 해석
계산기가 보여주는 DSR 결과 예시:
📢 총 DSR: 38%
📢 DSR 한도 초과 여부: 적정
📢 예상 승인 가능 대출금액: 2억 7천만 원
✅ DSR 40% 이하 = 대출 가능
❌ DSR 40% 초과 = 대출 한도 줄어듬 또는 거절
🟢 DSR 계산 시 유의사항
- 소득 산정 기준은 은행마다 다를 수 있음
→ 근로소득 외에도 프리랜서 소득, 임대소득 등은 일부만 인정될 수 있어요. - 상환 방식이 DSR에 큰 영향을 미침
→ 원리금균등 vs 만기일시상환에 따라 상환액이 달라져요. - 미래 금리 상승 리스크 고려
→ DSR은 고정된 수치지만, 금리가 오르면 실제 상환 부담은 늘어납니다.
🟢 결론
💡 DSR 계산기는 대출 준비 전 꼭 사용해야 할 필수 도구입니다.
내가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과 조건을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,
불필요한 대출 거절이나 금융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👉 꼭 DSR 계산기를 통해 한도를 미리 확인하고
👉 무리 없는 대출 계획을 세워보세요!
반응형
'경제 알아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환급] 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완벽 정리! (2) | 2025.07.10 |
---|---|
내 차로 돈 빌릴 수 있다?! 자동차 담보 대출 한도·금리 총정리 (1) | 2025.07.07 |
[2025년 7월부터 바뀌는 대출 규제] ‘DSR 3단계’ 총정리|지원대상, 스트레스 DSR 뜻, 계산기까지 (1) | 2025.07.05 |
청년 전세자금 대출, 2025 DSR 규제로 한도 얼마나 줄어들까? (1) | 2025.07.04 |
신혼부부라면 꼭 알아야 할 '아파트 공동명의' 장점과 단점 총정리 (3) | 2025.05.29 |